제태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[부동산 용어] 임의경매 강제경매 [부동산 용어] 임의경매 강제경매 임의경매 강제경매 임의경매는 부동산에 (근)저당권, 전세권, 담보권등을 설정한 사람이 경매를 신청함으로써 진행되는 경매다. 강제경매는 이러한 권리를 설저하지는 않았지만 부동산 주인에게 빌려 준 돈을 받고자 하는 사람이 (가)압류를 걸고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을 경우 진행되는 경매다. 실무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다.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인도명령 [부동산 용어] 인도명령 인도명령 부동산을 계속 점유할 권리가 없는 사람이 퇴거하지 않을 경우 집을 비워줄 것을 법원이 공식적으로 명령하는 절차.인도명령이 내려져야만 강제집행이 진행될 수 있다.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탑층 [부동산 용어] 탑층 탑층 실무에서 건물의 가장 꼭대기(top)에 위치한 층을 부르는 말로, 정식 용어는 아니다. 더위와 추위에 약한 일반적으로 선호도가 떨어지고 저렴하다.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KB시세 [부동산 용어] KB시세 KB시세 KB국민은행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시세 정보를 의미한다.은행에서 부동산담보대출을 해 줄 때 기준으로 많이 활용된다.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자서 [부동산 용어] 자서 자서 본래는 '자필서명'의 줄임말이지만, 흔히 대출을 받기 위한 서류를 작성하고 제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. 자서를 했어도 반드시 대출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미납관리비 [부동산 용어] 미납관리비 미납관리비 아파트의 경우 점유자가 관리비를 미납해서 낙찰자가 이를 승계, 즉 대신 납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. 판례에 따르면 전유부분은 내지 않아도 되지만 공용부분 관리비는 낙찰자가 내야 한다.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대항력 [부동산 용어] 대항력 대항력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집주인의 채무 때문에 임차인이 부당하게 내쫒기지 않도록 일정 조건을 충족한 임차인의 2년의 계약기간과 보증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켜주고 있는데, 이것을 대항력이라 한다. 단 가장임차인의 대항력은 인정되지 않는다. 더보기 [부동산 용어] 유치권 [부동산 용어] 유치권 유치권 부동산에 채권, 즉 돌려받아야 할 빚이 있는 사람 이를 돌려받기 위해 행사하는 권리, 공사비용을 받지 못한 공사업체가 그 비용을 받을 때까지 공사한 건물을 점유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다. 그러나 유치권이 정말 성립 되는지는 법률과 판례를 자세히 따져봐야 한다. 더보기 이전 1 ··· 11 12 13 14 15 16 다음